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MyVoca
- 프로그래머스
- Gradle
- activity
- 코루틴
- 코드포스
- pandas
- GitHub
- textfield
- Hilt
- AWS
- android
- ProGuard
- 백준
- Compose
- 암호학
- architecture
- relay
- Kotlin
- Rxjava
- Coroutines
- 쿠링
- livedata
- androidStudio
- Codeforces
- Python
- Coroutine
- MiTweet
- boj
- TEST
Archives
- Today
- Total
이동식 저장소
[Compose] padding과 contentPadding의 차이 본문
LazyList
계열 composable인 LazyColumn
과 LazyRow
에는 contentPadding
이라는 매개변수가 있다. 일반적인 Modifier.padding()
과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자.
@Composable
@ComposableTarget
public fun LazyColumn(
modifier: Modifier,
state: LazyListState,
contentPadding: PaddingValues,
reverseLayout: Boolean,
verticalArrangement: Arrangement.Vertical,
horizontalAlignment: Alignment.Horizontal,
flingBehavior: FlingBehavior,
userScrollEnabled: Boolean,
content: LazyListScope.() -> Unit
): Unit
LazyColumn
기준으로 설명하겠지만, LazyRow
에도 똑같이 적용되는 내용이다.
Modifier.padding
Modifier.padding()
은 content
를 둘러싸는 컨테이너의 padding을 설정한다. 대략 아래 그림과 같다.

초록색으로 표시된 padding 내부에 파란색 content
가 보이게 된다. 그래서 UI 아래가 잘린 것처럼 보인다.

contentPadding
반면 contentPadding
은 말 그대로 content
에 padding을 입힌다. 그래서 화면 아래의 스크롤되는 부분이 잘리지 않는다.


UI가 보이는 사각형 영역을 자르고 싶다면 Modifier.padding()
을, 실제로 보이는 content에 패딩을 붙이고 싶다면 contentPadding
매개변수를 사용하자.
'Primary > Compo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lay] Under the hood (0) | 2022.11.27 |
---|---|
[Relay] 설치 및 체험 (0) | 2022.11.26 |
[Compose] TextField의 state를 관리하는 방법 (0) | 2022.11.09 |
Figma 컴포넌트를 Compose로 변환????? (0) | 2022.10.26 |
[Compose] 반응형 앱 구현 실전 (4) | 2022.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