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Python
- MiTweet
- AWS
- Compose
- 백준
- 프로그래머스
- pandas
- android
- boj
- Rxjava
- MyVoca
- 코루틴
- 코드포스
- Hilt
- relay
- activity
- 쿠링
- textfield
- 암호학
- Gradle
- androidStudio
- TEST
- ProGuard
- livedata
- Coroutine
- GitHub
- Kotlin
- architecture
- Codeforces
- Coroutines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79)
이동식 저장소
현재 Canary 9 버전인 Android Studio Flamingo에 추가된 기능을 살펴보자. 내가 개발할 때 체감할 수 있을 만한 내용만 선별하여 정리했다. 아직 개발 초기 단계인 만큼 기능이 계속 추가될 수 있는데, 가능한 한 최신 내용으로 갱신할 계획이다. 웬만하면 canary는 안 쓰는 편이지만, Android Dev Summit 2022에서 알게 된 기능을 체험해 보고 싶어서 사용하고 있다. Network Inspector traffic interception Flamingo Canary 1 버전부터 Network Inspector가 모든 네트워크 트래픽을 보여준다. 응답이 외계어인 이유는 인코딩이 깨졌기 때문이다. DB에는 정상적으로 저장된다. 그 밖에도 커스텀 rule을 만들어 특정 응답..
현재 Release Candidate인 Android Studio Electric Eel(EE)에서 추가된 기능을 살펴보자. 추가된 기능을 모두 적지는 않았고, 실질적으로 내가 개발할 때 체감할 수 있을 만한 내용을 정리했다. Compose Preview 프리뷰에서 변경사항을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매번 빌드하지 않아도 된다! 내가 제일 좋아하는 업데이트라 맨 앞에 적었다. 원문에는 맨 끝에 있는데 ㅎㅎ Compose Preview에서 Device 설정 ``@Preview`` 어노테이션에 프리뷰를 보여줄 기기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런데 무려 기기 스펙을 문자열로 명시하는 문법이다;; @Preview(device = "spec:width=1280dp,height=800dp,dpi=480,orienta..
코로나 새내기들에게 꼭 필요한 문제 13418번: 학교 탐방하기 입력 데이터는 표준 입력을 사용한다. 입력은 1개의 테스트 데이터로 구성된다. 입력의 첫 번째 줄에는 건물의 개수 N(1 ≤ N ≤ 1,000)과 도로의 개수 M(1 ≤ M ≤ N(N-1)/2) 이 주어진다. 입력의 두 번 www.acmicpc.net 학교 지도가 연결 그래프로 주어진다. 학교의 모든 건물을 탐방하는 경로 중 피로도가 최대일 때와 최소일 때의 차이를 구해야 한다. 피로도는 지나간 오르막길의 개수의 제곱으로 계산하므로, 오르막길을 가장 많이(또는 적게) 지나가는 경우를 구해야 한다. 건물 $N$개와 입구까지 총 $N+1$개의 노드를 연결하는 트리에는 간선이 $N$개 존재한다. 지문은 거창하지만, 그냥 최소 스패닝 트리 문제이다..
골드 재활 중~ 1445번: 일요일 아침의 데이트 첫째 줄에 숲의 세로 크기 N과 가로 크기 M이 주어진다. N과 M은 3보다 크거나 같고,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부터 숲의 지도가 주어진다. 숲의 지도는 S, F, g, . 만으로 이루어져 있 www.acmicpc.net 대충 쓰레기를 최대한 피해서 목적지에 도달하면 되는 문제이다. 그런데 지문이 진짜 쓰레기 수준이라 제대로 읽지 않으면 틀리기 매우 쉽다. 함께 자세히 읽어 보자. 쓰레기를 밟지 않는 것을 우선으로 해야 한다. 쓰레기 옆을 지나가는 건 그 다음이다. 쓰레기 옆을 지나가는 행동의 기준은 a) 비어있는 칸을 지나가는데 b) 그 칸의 상하좌우에 쓰레기가 있는 경우이다. 따라서 쓰레기가 있는 칸 옆에 쓰레기가 있다면 쓰레기 옆..
Compose에서 slot이란 사용자가 원하는 뷰로 채울 수 있게 비워둔 공간을 의미한다. 주로 컨테이너 역할을 하는 composable을 구현할 때 사용하는 패턴이다. 예를 들어 ``TopAppBar``에는 다음 그림처럼 빈 공간이 3개 있는데, 왼쪽부터 각각 ``navigateIcon``, ``title``, ``actions``를 위한 공간으로 할당되어 있다. @Composable fun TopAppBar( title: @Composable () -> Unit, modifier: Modifier = Modifier, navigationIcon: (@Composable () -> Unit)? = null, actions: @Composable RowScope.() -> Unit = {}, backg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