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Rxjava
- androidStudio
- MyVoca
- Python
- Gradle
- architecture
- Coroutines
- TEST
- android
- GitHub
- 암호학
- Kotlin
- ProGuard
- activity
- Hilt
- Compose
- relay
- 코드포스
- 프로그래머스
- textfield
- AWS
- 쿠링
- livedata
- 백준
- pandas
- boj
- 코루틴
- Coroutine
- MiTweet
- Codeforces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79)
이동식 저장소
Android 프로젝트를 만들면 수많은 Gradle Scripts 파일이 생성된다. 나머지는 대충 알겠는데 ``proguard-rules.pro``는 대체 무엇인가? 파일 내용을 봐도 딱히 모르겠고.. # Add project specific ProGuard rules here. # You can control the set of applied configuration files using the # proguardFiles setting in build.gradle. # # For more details, see # http://developer.android.com/guide/developing/tools/proguard.html # If your project uses WebView with JS,..
Kotlin을 처음 배울 때는 ``enum class``와 ``sealed class``를 혼동하곤 했다. enum을 구현할 떄 ``enum class`` 대신 ``sealed class``를 써도 되지 않나? 결론 ``sealed class``를 써도 되지만, 바람직한 사용법은 아니다. 왜? ``enum class``가 왜 적합한지는 설명 안 해도 되겠지? 이제 ``sealed class``의 바람직한 사용 예시를 설명하려 한다. ``sealed class``는 클래스가 정의된 블럭 안에서만 상속될 수 있으며, 외부에서의 상속을 허용하지 않는다. sealed class Animal { // Animal은 이 안에서만 상속될 수 있다. class Cat: Animal class Dog: Animal } ..
정말 좋은 글이다. 일독을 권한다. Jetpack Compose Stability Explained Have you ever measured the performance of your composable and discovered it is recomposing more code than you expect? “I thought Compose… medium.com 요약하면 Composable의 모든 매개변수가 immutable 또는 stable하다면 해당 composable은 skip될 수 있다. 어떤 composable이 skip되지 않아 성능상의 문제가 발생한다면, 먼저 unstable한 매개변수가 있는지 확인하자. 그래도 잘 모르겠다면 Compose compiler의 보고서를 참고해 보자. ``Li..
22343번: 괄호의 값 비교 첫 번째 테스트 케이스: f[A] = f[((()))] = 4이고, f[B] = f[()(())] = 3이므로, f[A] > f[B]이다. 두 번째 테스트 케이스: f[A] = f[(((())))] = 8이고, f[B] = f[()()()()()] = 5이므로, f[A] > f[B] 이다. www.acmicpc.net 올바른 괄호 문자열 $A$, $B$가 주어졌을 때, $f[A]$와 $f[B]$를 비교하는 문제이다. 값을 비교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값을 구하지 않아도 되지만, 다른 방법이 떠오르지 않아 그냥 구하기로 결정. 그런데 문제가 있다. 주어지는 문자열의 길이가 최대 300만이라 $f[A]$의 최댓값이 $2^{1500000}$이다. 로그를 적용해 보려 해도 $f[()]..
머리로 하는 작업 말고, 몸에게 맡겨야 하는 일이 있지 않는가. 의식적으로 하면 오히려 실수하게 되는 그런 일들. 예를 들면 악기 연주라던가. 이런 일을 할 때는 적절히 잘 쉬어야 한다. 피아노를 하루 종일 연습한다고 해서 단기간에 실력이 늘지 않기 때문이다. 스트레스만 더 받지.. 답답하더라도 지금의 자기 실력을 인정하고, 꾸준히 연습하는 방법밖에 없다. 잘 안 되면 일주일 정도 쉬어도 된다. 손이 기억하고 있으니까. 소음투성이인 이 세상 속에서, 취미활동을 할 때마저 스트레스를 받을 수는 없지 않겠나. 좋아하는 일을 할 때만이라도 자기 자신을 너그럽게 대해 보자. 꾸준함의 복리 효과를 믿어 보자. 생각한 대로 연주되지 않아 짜증냈던 어제의 나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