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androidStudio
- 쿠링
- Coroutines
- architecture
- Python
- 코루틴
- TEST
- 코드포스
- Rxjava
- Compose
- activity
- android
- Coroutine
- livedata
- AWS
- textfield
- Gradle
- Kotlin
- MyVoca
- Codeforces
- MiTweet
- GitHub
- 백준
- relay
- 암호학
- boj
- ProGuard
- pandas
- Hilt
- 프로그래머스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79)
이동식 저장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gU6iw/btqQed9QzBu/SLqpG3MK2l3IDWJSzHJIO1/img.png)
작년에 봤을 때 어려워 보여서 스킵했던 문제이다. 기말고사로 스터디 쉬는 동안 풀어보려고 다시 붙잡았는데, 예상 외로 오래 걸렸다. 한 2주 넘게 생각한듯. 내가 이런 문제에 취약한 건가, 겨우 골드5인데.. 3020번: 개똥벌레 개똥벌레 한 마리가 장애물(석순과 종유석)로 가득찬 동굴에 들어갔다. 동굴의 길이는 N미터이고, 높이는 H미터이다. (N은 짝수) 첫 번째 장애물은 항상 석순이고, 그 다음에는 종유석과 석순이 www.acmicpc.net 이분 탐색이라는 생각이 들긴 했다. 개똥벌레가 높은 구간을 지날수록 파괴해야 하는 석순의 개수는 (일반적으로) 감소한다. 하지만 높은 구간을 지나는 개똥벌레는 (일반적으로) 더 많은 종유석을 파괴해야 한다. 따라서 개똥벌레가 $i$번째 구간으로 지나갈 때 파괴..
레이아웃 XML 파일 Java 파일 override fun onCreate(savedInstanceState: Bundl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binding = ActivityAddVocaBinding.inflate(layoutInflater) setContentView(binding.root) // ... } 신기술 ``ViewBinding``을 사용하다 오류를 하나 찾아냈다. XML 파일에서 설정한 ``layout_margin``이 가로, 세로 모두 적용되지 않는 문제이다. 놀랍게도 구글링해서 답을 찾을 수 없었다. ``Fragment``에서 오류난 사람은 있었지만 ``Activity``에서 오류가 난 사람은 없었던 듯 하다. 해결책은 그냥 ``lay..
맥스웰의 악마 비트는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비트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 에너지가 들기 때문이다. 그러면 $E=mc^{2}$에 의해 비트 하나가 갖는 무게를 알 수 있다. 어쨌든 비트는 에너지를 갖는다. 그렇다면 무게가 $t$ 그램인 블랙홀은 몇 개의 비트로 표현될까? 참고로 블랙홀은 표면적과 최대 질량이 비례한다. 블랙홀의 표면적의 일부분 $s$마다 비트가 할당될 텐데, 놀랍게도 $s$는 플랑크 길이의 제곱과 같다. 즉 플랑크 길이의 제곱에 해당하는 면적마다 비트를 하나씩 할당하면 된다. 이쯤되면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도대체 플랑크 길이는 무엇인가? 우주는 정말로 디지털인가? 파동이 입자로 바뀌는 순간 코펜하겐 해석에 따르면 파동은 측정되는 순간 입자로 바뀐다. 그 입자의 위치를 제외한 다른 모든 ..
1. 사용자 정의 함수 1.1 함수 정의 방법 func = function(arg1, arg2, ...) { ... } 한 줄짜리 함수는 중괄호를 안 써도 된다. my.sum = function(x, y) x + y 1.2 매개변수 매개변수에는 디폴트 값을 줄 수 있다. 디폴트 값이 주어진 매개변수는 함수 호출 시 생략해도 된다. func = function(x, conf=0.95) { ... } func(c(1, 2)) # OK func(c(1, 2), conf=0.9) # OK 기존의 함수를 이용하여 함수를 정의할 때 생략 부호 ...을 이용하면 매우 편리하다. 일반적으로 생략 부호는 함수의 마지막 매개변수로 지정한다. 함수를 호출할 때 ... 부분에 사용한 매개변수는 모두 기존 함수로 전달된다. f..
물리에서는 아무리 이상한 얘기라도 실험으로 확인되면 사실로 받아들인다. 특수 상대성 이론은 상대적이다 내가 볼 때 A의 시간이 느리게 간다면, 마찬가지로 A가 볼 때는 나의 시간이 느리게 가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이것이 과연 모순이 없는가? 없다. 매우 어려운 계산이므로 받아들이자. 아무것도 없는 우주에서는 내가 움직이는 건지 A가 움직이는 건지 판단할 수 없다. 만약 무언가가 빛보다 빠르게 움직일 수 없다면 논리적인 모순이 발생한다. 따라서 어떠한 물체도 빛보다 빠르게 움직일 수 없다! 참고로 특수 상대성 이론은 실험으로 확인되었다. 궤도 이동 1차시 15:40~ 참고 결론: 중력의 변화도 광속으로 전달된다. 이런 물리 얘기가 암호에 쓰이지는 않는다. 말이 안 될 것 같은 얘기도 실험으로 확인되면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