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암호학
- MiTweet
- Codeforces
- AWS
- Compose
- 백준
- 코드포스
- Hilt
- architecture
- boj
- GitHub
- Python
- Coroutine
- ProGuard
- Rxjava
- pandas
- android
- 프로그래머스
- relay
- Kotlin
- 쿠링
- Coroutines
- 코루틴
- MyVoca
- textfield
- livedata
- Gradle
- TEST
- activity
- androidStudio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79)
이동식 저장소
ggplot2를 사용하여 그래프를 그려 보자. 1. ggplot2 시작하기 데이터프레임 mpg의 변수 displ과 hwy의 관계를 산점도로 나타내 보자. displ은 리터 단위 배기량이고, hwy는 고속도로 연비이다. ggplot(data=mpg) + geom_point(mapping=aes(x=displ, y=hwy)) 그래프 작성은 ggplot()으로 시작한다. ggplot()에서는 그래프 작성에 사용할 데이터프레임을 지정하고, 그래프가 작성될 좌표계를 준비한다. ggplot()만으로는 실질적인 그래프가 작성되지 않으며, 막대그래프, 히스토그램, 산점도 등의 레이어를 추가해야 한다. 위에서는 geom_point()를 이용하여 산점도를 작성하였다. 이처럼 ggplot2에서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가 겹쳐져..
dplyr의 함수를 이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다양한 방법으로 다듬을 수 있다. dplyr 함수는 세 가지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filter(), slice(), arrange(), distinct()와 같이 행(row)을 대상으로 작업하는 함수, select(), rename(), mutate(), relocate()와 같이 열(column)을 대상으로 작업하는 함수, 요약 통계량을 계산하는 함수 summarise()가 있다. 1. 행을 작업 대상으로 하는 함수 1.1 조건에 의한 행 선택: filter() filter()를 이용하여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행을 선택할 수 있다. 조건을 설정할 때에는 다양한 비교 연산자(>, = left, x % slice(5:10)을 실행해야 한다. 만약 5-10번..
미래의 암호 아주 피상적으로 이런 암호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빨간색 ``마법 잉크``를 이용하여 글씨를 쓴다. ``마법 잉크``는 평소에는 빨간색이지만, 빛을 받으면 검은색으로 변한다. 즉 수신자가 편지를 열어봤을 때 글씨가 빨간색이었다면(곧 검은색으로 변하겠지만) 아무도 이 편지를 열어보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열어봤더니 글씨가 검은색이라면 누군가 편지를 열어봤음을 알 수 있다. 뭔 소리냐고? 지금부터 얘기할 것들을 자세히 이해하려면 물리를 깊게 알아야 한다. 잠깐 딴 얘기좀 하겠다. 물리가 뭔데? 픽션 세계에서는 무엇이든 가능하다. SF에서는 적당히 과학처럼 보이도록 하면 섞으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물론 너무 비과학적이면 욕을 먹긴 하겠지만. 수학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은 논리적이고 모순이 ..
Massey-omura 많이 쓰는 암호는 아니지만, 굉장히 특이한 암호 체계이다. 왜냐고? 아무것도 공유를 안 하거든! ``RSA``에서는 $e$와 $n$을 공유(정확히는 공개)하였다. ``엘가말``에서도 $g^{a}$와 $g^{b}$가 공유된다. 그러나 ``Massey-omura``에서는 송신자와 수신자의 정보가 아무것도 공유되지 않는다. A가 메시지 송신자, B가 수신자라고 하자. A는 가방에 메시지를 넣고, 가방을 자물쇠로 잠근 후 B에게 가방을 전달한다. 비밀 키 시스템에서는 B가 열쇠를 공유받기 때문에 가방을 열 수 있다. 공개 키 시스템에서는 잠글 수만 있는 키와 열 수만 있는 키가 다르긴 하지만, 어쨌든 B는 자신의 열쇠를 이용하여 가방을 열 수 있다. 그런데 ``Massey-omura``에..
서명 서명이 있으면 암호화만 가지고는 못 하는 일들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뱅킹. 내 입장에서 보면 상대가 은행인지 어떻게 아는가? 반대로 은행 측은 내가 계좌 주인인지 어떻게 아는가? 상대방을 확인할 수 있는 서명이 있다면, 서명이 누구의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면 많은 일을 할 수 있다. 이상적인 서명은 어때야 하는가? 단 한명만 만들 수 있는 서명, 누구나 그 서명의 주체를 확인할 수 있는 서명이 좋은 서명이다. 또, 내가 서명했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어야 한다. RSA 서명 다음의 상황을 가정한다. $p,~q$: 큰 소수 (공개됨) $n=pq$ (공개됨) $e$: 암호화 키 (공개) $d$: 복호화 키 (비공개) $ed=1 \mod (p-1)(q-1)$ 메시지 $m$에 대해 서명 $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