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boj
- 암호학
- 프로그래머스
- AWS
- 코드포스
- 백준
- pandas
- livedata
- ProGuard
- Hilt
- relay
- MyVoca
- Codeforces
- Kotlin
- MiTweet
- android
- Rxjava
- 쿠링
- TEST
- Python
- GitHub
- textfield
- Coroutines
- Gradle
- architecture
- Coroutine
- activity
- Compose
- androidStudio
- 코루틴
- Today
- Total
목록Thinking (24)
이동식 저장소
티스토리 스킨을 약간 개량했다. 가장 큰 차이점은 역시 글꼴! 대구광역시 달서구에서 만든 달서힐링체이다. 내 취향에 맞아서 가져와 봤다. 리스트에서 margin과 padding이 일정하지 않은 부분도 고쳤다. 이전 스킨은 하위 요소가 있는 아이템의 margin이 너무 크게 잡혀 있었는데, 이제 하위 아이템의 존재 여부와 상관없이 모든 margin이 같게 보일 것이다. 이왕이면 스킨 자체를 직접 만드는 게 좋은데.. 귀찮은 관계로 ㅎㅎㅎ

회사가 선형적으로 성장할 때, 필요한 인력은 지수적으로 늘어난다. 지금 내 상황이 딱 그렇다. 실력이 늘긴 하지만 아주 폭발적으로 늘지는 않는데, 새로 배워야 할 것들이 너무 빠르게 많아진다. 마치 반지름의 제곱에 비례하여 늘어나는 둘레처럼. Notion에 공부해야 할 것들을 정리해 놓는데, 문서 양이 계속 우상향하고 있어서 걱정이다. 실력이 우상향해야 하는데.. 감사하게도 한 달간의 공부 시간을 얻었지만, 상황이 그리 녹록치 않다. 솔직히 막막하다. 이럴 때일수록 천천히, 그러나 꾸준하게. 하루에 하나씩 처리한다는 마인드로 공부하자. 하지만 무리하게 빨리 끝내려고 할 필요는 없다. 글 올리는 데에만 급급해하지 말고, 시간을 들여서라도 완전히 이해하자. 천리 취업 길도 한 걸음부터. 물론 목표는 천리 길..

감사하게도 방학때 자습 감독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학생 여러분께 무한한 감사를.. ㅎㅎ 자습 감독이니만큼 나도 공부해야 하는데, 진짜로 8시간동안 공부만 하다 퇴근한다 ㅋㅋ 태블릿으로는 8시간을 채울 수 없다는 판단 하에 노트북을 구매하기로 했다.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예산은 90만원 라이젠 RAM 16GB (안드로이드 개발용) SSD 256GB↑ 배터리, 무게는 상관없음 (들고 다닐 거 아니라서) 최종 후보 LG전자 2022 울트라PC 15UD40Q-GX70K 16GB램 (SSD 256GB) : 다나와 가격비교 컴퓨터/노트북/조립PC>노트북>노트북 전체, 요약정보 : 노트북 / 운영체제(OS): 미포함(프리도스) / 구성변경상품 / 용도: 사무/인강용 / 화면정보 39.6cm(15.6인치) / 19..
머리로 하는 작업 말고, 몸에게 맡겨야 하는 일이 있지 않는가. 의식적으로 하면 오히려 실수하게 되는 그런 일들. 예를 들면 악기 연주라던가. 이런 일을 할 때는 적절히 잘 쉬어야 한다. 피아노를 하루 종일 연습한다고 해서 단기간에 실력이 늘지 않기 때문이다. 스트레스만 더 받지.. 답답하더라도 지금의 자기 실력을 인정하고, 꾸준히 연습하는 방법밖에 없다. 잘 안 되면 일주일 정도 쉬어도 된다. 손이 기억하고 있으니까. 소음투성이인 이 세상 속에서, 취미활동을 할 때마저 스트레스를 받을 수는 없지 않겠나. 좋아하는 일을 할 때만이라도 자기 자신을 너그럽게 대해 보자. 꾸준함의 복리 효과를 믿어 보자. 생각한 대로 연주되지 않아 짜증냈던 어제의 나에게.
블로그를 2년 넘게 하고 있지만, 나의 생각을 적기보다는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고, 약간 나쁘게 말하자면 번역하는 데에 집중하지 않았나 싶다. 최근 올렸던 Android Architecture Layer 시리즈도 그렇고. 물론 블로그를 시작한 목적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기 위해서였다. 고등학생 때부터 느낀 건데, 난 공부한 걸 정리하지 않으면 당장은 이해해도 정작 나중에 써먹질 못하더라. 그래서 새로 알게 된 내용이 있다면 메모 한 줄이라도 적고 넘어가는 습관을 기르기 위해 노력했고, 어느정도 효과를 보고 있다. 여기까진 괜찮은데, 나는 정보의 생산자가 아닌 유통자가 되고 있는 게 아닐까 고민하게 된다. 공부한 내용은 잘 정리하고 있는데, 정작 내 머릿속을 스쳐가는 수백 개의 고민을 그냥 놓아주고 있다는 ..